전공영역: 교육철학, 교육사학, 마음교육
<<교육철학·사학>>
교육철학은 교육현상을 철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철학에서는 교육의 의미, 목적, 내용, 방법, 학교, 교사, 학생 등의 문제에 대해 인간관, 세계관, 존재관, 진리관, 인식관, 윤리관, 논리학 등의 철학적 관심을 결부시켜 질문하고 답을 구한다. 한편 교육사학은 교육현상을 역사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사학에서는 역사 속에서 전개된 주요 교육 현상에 대해 현재적 문제의식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규명해 간다. 교육사상사, 교육제도사 등의 하위 영역이 있다.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은 각각 독특한 연구관점과 방법론을 지닌 독립적 영역인 동시에 상호 긴밀한 보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역사적 인식이 결여된 철학하기는 관념적이기 쉽고 철학적 전망이 결여된 역사 이해는 맹목적이기 쉽기에, 교육에 대한 역사적 시각과 철학적 시각은 서로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동양과 서양, 그리고 하위 각 문화권은 그 문화권 나름의 교육의 철학과 역사를 지녀 왔는데 그것은 각각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인류의 대표적인 문화권들에서 태동하고 발전한 교육의 철학과 역사를, 그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측면을 고려하면서 탐색해 가는 과정은, 현재 교육 및 교육학의 실상을 이해하고 문제를 발굴하며 해법을 찾아가는데 필요한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이론과 실천의 틀을 다듬어가는 토대가 된다.
<<마음교육>>
마음교육론은 마음 및 마음형성과 교육 사이의 필연적 연관관계에 주목하며 교육의 의미와 성격을 탐색하는 학문 담론이다. 교육철학 연구의 한 영역이되 간학문적 접근을 지향한다. 마음교육론은, 교육은 궁극적으로 마음 본질의 통찰 및 실현의 일로 귀결된다는 인식을 지녔던 동양사상(유교, 불교, 도가)의 심학적(心學的) 교육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마음과 교육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마음교육론의 기본 과제 중의 하나는 마음 혹은 마음형성의 문제를 둘러싼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구축하는 일이며, 이를 위해 동양사상전통의 심학적 이해는 물론이고 현대 심리학과 철학, 사회학,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와 관점들 간의 간학문적 소통을 지향한다. 마음교육론은, 학습주체의 내면에 대한 표층적이고 분열적인 인식을 근간으로 한 교육 이해와 실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견지하며, 통합적인 마음 인식에 기초한 교육, 교과, 교수학습방법을 둘러싼 이론과 실천의 재구성을 모색한다.
이력: 학문, 교육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 조교수, 부교수, 교수(2003.3~현재)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학장(2024.2~현재)
한국교육사학회 학회장(2015.1~2016.12), 이사(2005.1~2014.12, 2017.1~현재)
한국교육사학회 편집위원장(2013.1~2014.12), 편집위원(2001.1~2012.12)
한국교육사상사학회 이사(2021.1~현재)
한국교육철학학회 편집위원(2007.1~2012.12), 이사(2013.1~2014.12, 2017.1~현재)
University of Washington, Visiting Professor(2010.9~2011.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박사후연구원(2000.11~2001.10)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1996.3~2000.8)(교육학박사, 2000)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1992.3~1994.8)(교육학석사, 1994)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 학사과정(1986.3~1992.2)(문학사, 1992)
연구관심 및 개설과목
<<연구관심>>
존재와 마음과 교육의 문제, 동양의 교육철학 전통(유가, 도가, 불가 등)과 그 현대적 해석,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한국교육의 역사, 동양과 서양의 교육사상사 및 그 비교, 마음교육의 이론과 실천,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현대 교육철학의 제 문제들
<<개설과목>>
-학부: 교육사상사, 한국교육사, 마음교육론, 서양교육사, 교육철학, 교육학고전강독 외
-대학원: 한국교육고전연구, 동양교육고전연구, 한국근세교육사상, 한국근대교육사상, 중국고대교육사상, 중국근세교육사상, 서양고대교육사상, 서양중세교육사상, 서양근세교육사상, 현대교육철학, 동서교육철학비교연구, 마음교육연구, 마음의 철학과 교육 외
(* 위의 학부와 대학원 개설과목에는 교내 서양 교육철학 관련 교수와의 협력 하에 개설되는 과목이 포함됨.)
저술: 논문, 저역서
<<논문>>
A collective essay on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Korean voices from its traditional thoughts on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2024)
Philosophy of Education in a New Key: East Asia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2021)
한국근대기 박은식의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과 실천 (교육철학연구, 2020)
<서평> 성인을 꿈꾼 시대, 성인을 꿈꾼 교육 (한국교육사학, 2019)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교육철학연구, 2019)
퇴계 성리학에서 敬의 의미와 실천법: 敬의 四條說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8)
Education and theory returning to life itself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2018)
Relations as the aim of education in Joseon neo-Confucianism: The case of the Five Relationship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2018-Published online) ( By Keumjoong Hwang & David S. Meyer)
퇴계의 『성학십도』로 본 인성교육의 의미와 원리 (퇴계학논집, 2016)
성(性)ㆍ리(理)의 세계관과 공부론(工夫論): 그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철학, 2016)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1928)을 통해 본 피셔(J. E. Fisher)의 민주주의 교육철학과 조선 선교교육 인식 (동방학지, 2016)
학교교육의 본질에 대한 두 시선: 주희(朱熹)와 듀이(J. Dewey)의 학교론 (교육철학연구, 2014)
주희(朱熹)와 듀이(J. Dewey)의 만남: 한국교육철학의 ‘과거’와 ‘현재’의 대화 (한국교육사학, 2014)
Educational modes of thinking in Neo-Confucianism: a traditional lens for rethinking modern educatio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013)
<서평> 역사 속의 신유학 (한국교육사학, 2013)
[대학]의 공부 강목(綱目)에 대한 주희(朱熹)의 이해 (한국교육사학, 2013)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朱熹)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 (교육사상연구, 2012)
잊혀진 교육전통, 전심(傳心): 주자학과 불교의 심법(心法) 전승 전통과 교육 (교육사학연구, 2012)
고조선 교육사 서술 및 인식의 문제 (한국교육사학, 2012)
Assimilation and Segregation of Imperial Subjects : "educating" the coloni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1910- 1945 (Paedagogica Historica, 2011) ( By Soon-Yong Pak & Keumjoong Hwang)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마음교육 (교육철학, 2010)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교육사상연구, 2010)
‘心學’から‘心の敎育’へ: ‘敬’と‘サティ(sati)’の心敎育學的傳承をめぐって (敎育思想, 2010)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교육철학, 2010)
주자학의 공부원리로서의 ‘위기지학’, 하학이상달’, ‘존덕성이도문학’ (한국교육사학, 2009)
주자 공부론의 형성과정과 문제의식 (한국교육사학, 2009)
[심경부주]를 통해 본 주자학적 배움의 성격 (교육철학, 2008)
朝鮮中期士林派の學校論: 退溪および栗谷を中心に (敎育史フォ-ラム, 2008)
<서평> 공부의 발견, 공부론의 발견 (한국교육사학, 2008)
남명의 공부론, 어떻게 주자학적인가? (한국교육사학, 2007)
조선시대 교육의 성리학적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한국교육사학, 2007)
성리학의 마음교육 이해와 현대 공교육에의 시사 (한국교육, 2005)
노자의 교육론과 그 사상사적 의미 (미래교육연구, 2005)
신라 화랑도 교육의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사학 , 2005)
‘마음교육론’의 학문적 성격과 전망 (교육학연구, 2004)
한국교육사.철학 연구의 관점과 방법론 (한국교육사학, 2003)
퇴계와 율곡의 공부론 비교 연구: [성학십도]와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2003)
율곡의 경(敬)과 성(誠)의 공부론적 성격 및 관계 (동서철학연구, 2002)
성리학에서의 소학,대학 교육과정론: 주자, 퇴계, 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2002)
율곡의 공부론과 [성학집요] (한국교육사학, 2002)
한국교육사상전통의 이중구조: 유교와 무속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2002)
퇴계의 공부론과 [성학십도] (한국교육사학, 2001)
주자의 공부론 연구 (연세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주자 교육론에서 덕(德)과 지(知)의 문제 (연세교육연구, 1998)
실학교육사상 연구의 반성과 전망 (교육철학, 1996)
<<저역서>>
주희朱熹의 공부론과 교육철학 (학지사, 2024)
마음챙김의 힘 (고요한소리, 2021/ 역서)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박영스토리, 2020/ 공저)
미래를 여는 교육학 (피와이메이트, 2019/ 공저)
교육과 성리학 (학지사, 2017 / 공저)
대학공의·대학강의·소학지언·심경밀험 (사암, 2016 / 공역서)
연희전문학교의 학문과 동아시아 대학 (혜안, 2016 / 공저)
해방 후 연세학풍의 전개와 신학문 개척 (혜안, 2015 / 공저)
한국 문화전통과 배려의 윤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공저)
학學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4)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 (혜안, 2014 / 공저)
역사 속의 교육공간, 그 철학적 조망 (학지사, 2011 / 공저)
조선의 주자학과 실학 (혜안, 2009 / 공저)
율곡학연구총서(율곡학회, 2007 / 공편저)
율곡이이의 사상과 철학적 이해 (율곡학회, 2006 / 공저)
한국유학사상대계Ⅴ-교육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2006 / 공저)
교육학 연구의 논리 (학지사, 2006 / 공저)
주자사상과 조선의 유자 (혜안, 2003 /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