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영역
- 교육과정
교육과정 분야는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적 측면을 다루는 분야와 현대 사회과학의 분석틀(포스트모더니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젠더 이론, 다문화주의, 비판이론 등)로 교육과정의 다양한 이론적 함의를 드러내려는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이 두 접근은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론의 뒷받침 없는 실제는 무모한 반면, 실제와 유리된 이론은 공허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소위 말하는 '개발 패러다임'과 '이해 패러다임'의 비판적 극복이며,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연구자에게 요청되는 것은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를 전개할 수 있는 지적 끈기이다.
- 대학원 진학 안내
저는 전공이라는 명칭보다는 studio('study'에 헌신하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라는 이름을 선호합니다. 연세대학교 교육과정 studio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분들은 언제든지 연구실 전화(02-2123-6173)이나 이메일(eduhong@yonsei.ac.kr)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1996)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1998)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Educational Policy 프로그램 박사(2008)
주요경력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2011.3 - 현재)
교육과정연구 편집위원장
한국교육학회 이사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위원
정부 업무 평가 위원
시도교육청 평가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위원
연구관심분야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 이론, 지구화·다문화 시대와 학교 교육과정의 역할
강의분야
[학부]
교육과정의 원리, 수업장학론, 교수방법론, 교육과정개발 등
[대학원]
교육과정개발론, 교육과정이론세미나, 교육과정특강 등
논문
[국제]
⦁ Park, Jung- Won & Hong, Won- Pyo (2022). Internationalisation in action: exploring the voices of IB DP graduates studying in loc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ducational Review, 74(1), 114-130. DOI: 10.1080/00131911.2021.1939657.
⦁ Choi, Yeonsoo., Kim, Sung won & Hong, Won- Pyo (2019) Is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different?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40(6), 776-794, DOI: 10.1080/01425692.2019.1592662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16). Why are teachers afraid of curricular autonomy? Contradictory effect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6(1), 20-33.
⦁ Chung, Pearl Jinjoo & Hong, Won- Pyo (2015).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2(2). 25-4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4). Teaching the USA in South Korean secondary classrooms: the curriculum of ‘the superior other.’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6(2), 249-275.
⦁ Hong, Won- Pyo (2012). An international study of the changing nature and role of school curricula: from transmitting content knowledge to developing students’ key competencie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3(1), 27-37.
⦁ Hong, Won- Pyo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3), 387-39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0). Teaching Asia in US secondary school geography and global studies classrooms: Curriculum of Other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2(3), 371-393.
⦁ Hong, Won- Pyo (2009). Reading school textbooks as a cultural and political text: Representations of Asia in geograph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 25(1), 86-99.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08). Does high stakes testing increase cultural capital among low income and racial minority students? Educational Policy Analysis Archive, 16(6).
[국내]
홍원표(202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책임교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모순과 가능성,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연구, 41(1), 211-236.
공민정, 홍원표(2023). 성인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탐색: 호주의 AMEP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6(2), 5-42.
정은진, 홍원표(2022). 중등학교 기간제교사의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와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9(3), 161-187.
조현희, 홍원표(2022).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0(6), 215-242.
최보금, 홍원표(2022). 중학생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변인 탐색: 2018년 중3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2), 121-145.
홍원표, 이광우, 임유나(2022).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남은 쟁점과 과제: 교육과정 담당 교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40(1), 157-183.
조현희, 홍원표(2022). 초등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28(1), 319-342
임유나·홍원표(2021). 미래 사회에 대응한 북유럽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1(3). 93-125
이상은·홍원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ㆍ운영 실태와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8(1). 1-28.
홍원표(2019). IB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의 공교육 도입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7(3), 199-222.
김한성·홍원표(2019).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 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65-190.
홍원표 ・최연수・최보금(2019). 고등학교 신설과목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탐구. 교육문화연구, 25(1), 491-511.
박주희·홍원표(2018).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연구, 35(1), 207-231.
홍원표(2017). Revisi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Focu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교육과정연구, 35(1), 239-254.
정진주·손다정·김효선·홍원표(2016). North Korean Adolescents’Experiences during and afte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Personal Endeavors and Structural Constraints. 비교
교육연구, 26(5), 65-91.
홍원표(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과 후속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34(2), 69-94.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학교 수업멘토링의 걸림돌과 디딤돌 : 두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3(2), 233-257.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 수석교사와 초임교사의 수업멘토링 실천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29(2), 207-230.
윤은영·홍원표(2016).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치 탐색: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75-96.
김효선·홍원표(2016).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73-96.
윤은영·홍원표(2015).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3(3), 101-123.
최보금·홍원표(2015).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과과정에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 이유가 대학 학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3(3), 141-160.
홍원표·윤은영(2014).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발전 방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49-172.
정진주·홍원표(2014). A Comparative Study on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the United Stateds and Korea. 비교
교육연구, 24(5), 127-152.
홍원표·곽은희(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소경희·송주현·홍원표·강지영(2014).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탐색. 음악교육연구, 43(2), 25-4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3).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탐색: 봉사활동을 넘어 봉사학습으로. 교육과정연구, 31(3), 227-252.
홍원표·윤은영·곽은희(2013).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년군 제도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6(2), 173-196.
홍원표·조현정(2013).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61(1), 169-198.
홍원표·정하나(2012). 초임교사 멘토링에 필요한 초등 수석교사의 역량요소 탐색: 중요도와 실행준비도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29(4),295-319.
홍원표·한진상(2012).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관점을 통해 본 초등 다문화 교육의 한계와 개선 방안. 초등교육연구, 25(3), 207-233.
홍원표·이광우(2012).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5(2), 1-23.
홍원표(2011). 오바마 이후 미국 교육과정 정책의 동향과 쟁점: 국가 교육과정을 향한 긴 여정과 불확실한 결과, 교육과정연구 29(4), 137-160.
홍원표(2011). 글로벌ㆍ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 교육의 내용영역 구안 및 교과 교육 과의 연계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1- 23.
홍원표(2011). 우상과 실상: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9(2), 23-43.
홍원표·이근호(201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적용 방안 연구: 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1), 67-86.
김신영·박현정·김재철·홍원표·김경희(2010).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방안 탐색연구. 교육평가연구, 23(4), 735-764.
홍원표 (2010).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연구: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인식론적 기반을 찾아서. 교육과정연구, 28(1), 47-65.
홍원표 (2009). 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미국 사회과 수업의 “아시아”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2(1), 145-172.
홍원표 (2008). 타인의 시선: 미국 교육과정 안의 아시아, 우리의 시선은? 교육과정연구, 26(4), 253-274.
홍원표 (2008).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교육원리연구13(2), 89-113.
저술
(Book chapter) Eunjin Jeong & Won- Pyo Hong (2023).Three Driving Forces underlying the Progress of School Curriculum in South Korea. In R. V. Nata (ed.) Progress in Education Vol. 74 (pp. 201-222). New York: NOVA.
(Book chapter) Lee, Moosung., Hong, Won- Pyo Hong & Wright, Ewan (2023). Understanding Curriculum from a Sociological and Policy Perspective. In C. Maxwell, L. Engel, & M. Yemini, M.(eds.) Sociolog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pp. 55-80). London: Bloomsbury.
홍원표(2019, 단독 번역). 교육과정 연구의 선도자들: 지적 자화상. 학지사
(Book chapter) Hong, Won-Pyo & Min, Sunkee (2013). Critical reexamin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merging diverse society: The South Korean case. R. White(Ed.), Curriculum development, innovation and reform (pp. 23-38). New York: Nova.
(Book chapter) Hong, Won-Pyo, Li, G., He, M. F., Tsou, W., Curdt-Christiansen, X., and Huong, P. L. (2010). Teachers and teaching in Sinic education. In Y. Zhao, J. Lei, G. Li, M. F. He, K. Okano, N. Megahed, D. Gamage, & N. Ramanathan (Eds.), Handbook of Asian education: A cultural Approach(pp.51-77). New York: Routledge.
(Book chapter) Hong, Won-Pyo & Lee, Kwang-Woo (2010).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In Han, S H. (Ed.), Managing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a learning society (pp.127-149).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Book chapter) Hong, Won-Pyo & Adler, S. (2009). The present and future of teaching methods in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A critical review. In E. Heilman, R. Fruja and M. Massias(Eds.).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What we do and why (pp. 363-376). New York: Routledge.
연구 과제 수행 (2015년 이후)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22. 4.- 2022. 12)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2021. 4-2021. 10)
미래형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2020. 6-2020. 11)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컨설팅(사례 연구) (2019. 5-2019. 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방안 연구(2019. 6-2019. 12)
시도 교육청 개설 승인과목의 운영실태 분석 및 질관리 방안 연구 (2018. 7-2018. 12)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영문판 개발 연구( 2015. 11-2016. 1)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15. 2-2015. 11)
학술발표
September 6, 2019. Experiences in ‘Elite’ High Schools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Identity Formation: The South Korean Case,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Hamburg, Germany.
September 6, 2018. Three South Korean Teachers’ Endeavours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Curriculum,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Bolzano, Italy.
August 24, 2016. A Critical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Dublin, Ireland.
2015년 5월 9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 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찰: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년 8월 29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은 학습의 기회가 될 수 있는가? 학생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부산: 부산대학교.
2015년 9월 10일 Europ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WERA: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Hungary: Budapest.
2015년 10월 16일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verse Academic Needs in South Korea.
서울: 서울대학
2014년 11월 20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Asia in the US curriculum, the US in the South Korean curriculum -
how they teach one another. 스코틀랜드 에딘부르대학교.
2014년 6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역랑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실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년 10월 17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school-based community services: Integrating service and learning.
서울대학교
2012년 4월 14일 미국교육학회(AERA: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Collective Imagination of Others and the School Curriculum?
The US in South Korean Curriculum. 캐나다: 밴쿠버
2011년 12월 17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Korean Dream for Autonomous School Curriculum:
Hopes, Obstacles and Global Implications. 대만: 국립중산대학교
2011년 11월 18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의 역설적 성격과 전망: 고르디온의 매듭풀기). 서울, 경희대학교
2011년 5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효과와 개선 방안 탐색). 대전, 충남대학교
2010년 5월 2일 미국 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미국 덴버.
2009년 10월 30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With Kwang-Woo Lee). 서울, 서울대학교
2009년 10월 24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해체와 재건축의 또 다른 시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08년 11월 29일 한국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Paper presentation: Rethinking teaching about others in a global society: Asia in American classrooms). 서울, 서울대학교
2008년 11월 25일 ASEM Lifelong Learning Conference (Paper presentation: Trends and issues in developing global competence in Korea). 중국 베이징
2008년 3월 28일미국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지구화 시대와 타자화의 교육과정- 미국 교실의 아시아 수업을 중심으로). 미국 뉴욕.
2008년 3월 20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연차 학술대회 (발표제목: 한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진로 불평등: 남녀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미국 뉴욕, 콜럼비아 대학교.
2007년 2월 27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연차 학술대회 (발표 제목: 타인에 대한 교육과정의 사회문화적 함의: 미국 교실 안의 아시아). 미국 볼티모어
2006년 11월 30일. 미국 사회교육학회 (NCS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연차 학술대회 (논문 발표: 사회-문화적 텍스트로서의 교과서: 교과서 안의 아시아 분석)
미국 워싱턴 디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