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및동아시아학(동아시아학) 연계전공 교과목
[전공필수]
■ 동아시아학 입문(Introduction to East Asian Studies)
동아시아학의 정의, 범위, 인식의 기본틀과 필수적 연구자료를 소개하고 실습함으로써 동아시아학 전공을 위한 기초적 소양을 습득한다.
[전공선택]
■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어제와 오늘(History of East Asian Regional Order)
전통시대의 중화질서에서 현대의 전지구화에 이르는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역사적 흐름을 개관하고 각 시대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정리한다.■ 동아시아인의 상호인식(Mutual Perceptions of East Asians)
동아시아인간의 상호인식의 역사적 궤적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갈등의 역사적·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미래의 호혜적 관계 수립, 더 나아가 동아시아 정체성의 형성 가능성을 전망한다.
■ 한국과 동아시아(Korea and East Asia)
남북통일, 미군기지, 경제통합, 환경오염, 한류현상 등 정치·군사에서 대중문화에 걸친 영역에서 동아시아 규모의 의제들이 한국의 미래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검토하고 이들 의제를 둘러싼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 동아시아의 공공성 (Publicness in East Asia)
오늘의 동아시아를 이해하고 새로운 동아시아를 상상하는 방법으로서 유교적 공공성의 공통의 역사적 경험을 탐색, 그 현재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내부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21세기 새로운 공공성의 창출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동아시아마이너리티의사상과문화 (Ideology and Culture OF Minorities in East Asian)
동아시아의 다층적 존재들 사이의 상호인식을, 마이너리티의 사상, 문학, 문화 속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현재 마이너리티를 둘러싼 갈등과 혐오의 역사적·문화적 맥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호혜적 관계를 모색한다. 더 나아가 동아시아 마이너리티 내부의 복잡성과 다층성을 이해하고 타자와의 공생을 전망한다.
■ 동아시아속북한의역사와문화(The History and Culture of North Korea within East Asian)
기존 북한 관련 강좌가 영역으로서 한반도 북부에 국한되어 왔던 것에서 벗어나, 일본 자이니치, 연변 조선족, 러시아 고려인 등 디아스포라 사회와의 연계성에 주목하여 북한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다.
■ 동아시아네크워크와커먼즈(East Asian Networks and Commons)
유교적 공공성부터 시작해 동아시아 연대론을 거쳐 현재의 커먼즈(commons) 논의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네트워크의 근간이 된 공공성/공통성의 사유를 역사적으로 탐색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사유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내부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새로운 동아시아적 관계를 상상한다.
■ 영상매체로본동아시아와한국(East Asian and Korea in Visual Mass Media)
남북통일, 미군기지, 경제통합, 환경오염, 한류현상 등 정치·군사적 문제부터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영역에서 동아시아의 현재적 의제들이 한국의 현 상황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대중적 영상 매체(영화, 드라마) 및 예술 매체(음악, 미술, 연극 등)를 매개로 검토하여, 동아시아 공통의 문제해결을 위한 연대 가능성을 모색한다.
■ 동아시아박물관(Museums in East Asia)
(근)현대 동아시아(한국, 중국, 일본, 대만) 박물관의 역사를 박물관 유물, 전시, 활동 등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동아시아 박물관들의 설립 목적, 국가 간의 영향, 역사적 맥락 상에서의 의미, 현재적 이슈 등을 살핀다. 수강생들은 동아시아 나라들의 박물관 역사를 통해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탐구할 수 있다.
2. 한국및동아시아학(동아시아학) 교과과정
과목종별 |
학정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개설학과 |
전필 |
EAS3103 |
동아시아학입문 |
3 |
동아시아학 |
전선 |
EAS3101 |
동아시아지역질서의어제와오늘 |
|
|
|
EAS3102 |
동아시아인의상호인식 |
|
|
|
EAS3104 |
한국과동아시아 |
|
|
|
EAS3105 |
동아시아의공공성 |
|
|
EAS3106 | 동아시아마이너리티의사상과문화 | |||
EAS3107 | 동아시아속북한의역사와문화 | |||
EAS3108 | 동아시아네크워크와커먼즈 | |||
EAS3109 | 영상매체로본동아시아와한국 | |||
EAS3110 | 동아시아박물관 | |||
필교 |
UCF1104 |
세계화시대의국제관계 |
3 |
학부대학 |
|
YCI1002 |
세계평화와발전의국제관계 |
|
|
|
YCH1201 |
세계화와글로벌거버넌스 |
|
|
|
YCD1653 |
아시아영화탐색 |
|
|
|
YCE1202 |
동아시아역사분쟁과한국 |
|
|
YCE1102 | 동서문화교류와역사 | |||
YCE1302 | 중국어(2) | |||
선교 |
UCG1130 |
동아시아신화기행 |
|
|
|
UCG1105 |
동아시아와인류문명 |
|
|
YCF1353 | 일본어(3) | |||
전선 |
CLL2601 |
중국현대영상예술 |
3 |
중어중문 |
CLL3303 | 중급중국어독해 | |||
전선 |
HIS3109 |
한국중세국제교류사 |
3 |
사학 |
HIS3402 | 중국증세의정치와문화 | |||
|
HIS3427 |
동서문화교류사 |
|
|
|
HIS3428 |
동남아시아사 |
|
|
|
HIS3437 |
매체와지식정보의동아시아사 |
|
|
|
HIS3438 |
아시아사에서 종족, 이주, 국가 |
|
|
|
HIS4408 |
동아시아사특강 |
|
|
전선 | KOR3537 | 동아시아비교문학 | 3 | 국어국문 |
KOR4306 | 남북한문학읽기 | |||
전기 | PHI1002 | 동양의가치와철학 | 3 | 철학 |
전선 | PHI4272 | 동아시아철학특강 | ||
전선 |
POL2102 |
국제관계론 |
3 |
정치외교 |
POL2106 | 비교정치론 | |||
|
POL3105 |
동양정치사상 |
|
|
|
POL3106 |
동북아국제안보 |
|
|
|
POL3134 |
한국과동아시아국제관계사 |
|
|
POL4108 | 동아시아국제관계 | |||
전선 |
ANT2104 |
글로벌라이제이션과이주 |
3 |
문화인류학 |
|
ANT3108 |
동아시아지역연구 |
|
|
|
ANT3111 |
역사인류학 |
|
|
|
ANT3203 |
일본문화연구 |
|
|
|
ANT3204 |
현대중국의사회와문화 |
|
|
|
ANT3208 |
동남아시아사회와문화 |
|
|
|
ANT4102 |
지역연구 |
|
|
전선 |
ECO3111 |
지역경제론 |
3 |
경제학 |
ECO3130 | 국제금융론 | |||
전선 |
CML3104 |
동양으로서양읽기 |
3 | 비교문학 |
전선 | SOC3402 | 동아시아사회비교 | 3 | 사회학 |
|
SOC3610 |
대중문화연구 |
|
|
SOC4115 | 역사사회학 | |||
SOC4116 | 비교사회학 | |||
SOC4117 | 현대사회론 | |||
SOC4305 | 동아시아의대안적근대성 | |||
전필 |
ARC3506 |
동양건축사 |
3 |
건축학 |
전선 | ELL4905 | 근대성과오리엔탈리즘 | 3 | 영어영문 |
전선 |
CNT3115 |
동양의복식문화와역사 |
3 |
의류환경학 |
MR | ASP1011 | Introduction to Asian Studies | 3 | UIC |
ME | ASP3004 | TRANSNATIONAL EAST ASIAN CINEMAS | ||
|
CLC3705 |
EAST ASIAN CINEMA AND CULTURAL CROSSING |
|
|
|
ISM3503 |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
|
|
ISM3517 | EAST ASIA: STATE, SOCIETY, AND CULTURE | |||
ISM4808 | NGOS AND DEVELOPMENT | |||
전선 | THE3509 | 폭력, 화해, 평화 | 3 | 신학 |
한국및동아시아학 연계전공 |
||||
전기 |
KOS3101 |
한국학입문(1) |
3 |
한국학 |
|
KOS3104 |
동아시아문화교류와한류 |
|
|
|
KOS3106 |
한국근현대사회와대중문화 |
|
|
KOS3107 | 한국학입문(2) | |||
|
KOS3108 |
한국과세계문화예술의비평 |
|
|
KOS3109 | 미술로본한국문화사 | |||
전기 |
CHI3101 |
중국입문 |
3 |
중국학 |
전선 |
CHI3102 |
중국의최근정황 |
|
|
|
CHI3103 |
중국의자연지리와인문환경 |
|
|
CHI3104 | 중국외교의이해 | |||
전기 |
JAP3102 |
일본학입문 |
3 |
일본학 |
전선 | JAP3101 | 일본의경제와기업경영 | ||
|
JAP3103 |
일본의현지사정(2) |
|
|
|
JAP3104 |
일본문화와사회 |
|
|
|
JAP3105 |
일본학특강 |
|
|
|
JAP3106 |
일본의현지사정(1) |
|
|
|
JAP3107 |
일본근대문학 |
|
|
|
JAP3108 |
한일비교문학 |
|
|
JAP3109 | 동아시아와일본 | |||
전필 |
EAS3103 |
동아시아학입문 |
3 |
동아시아학 |
전선 |
EAS3101 |
동아시아지역질서의어제와오늘 |
|
|
|
EAS3102 |
동아시아인의상호인식 |
|
|
|
EAS3104 |
한국과동아시아 |
|
|
|
EAS3105 |
동아시아의공공성 |
|
|
EAS3106 | 동아시아마이너리티의사상과문화 | |||
EAS3107 | 동아시아속북한의역사와문화 | |||
EAS3108 | 동아시아네크워크와커먼즈 | |||
EAS3109 | 영상매체로본동아시아와한국 | |||
EAS3110 | 동아시아박물관 |
*UIC 교과목은 모두 UIC ONLY로 타 대학 소속 학생들은 수강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