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mless Transportation Lab (심리스 트랜스포테이션 랩, 이하 STL)은 미래형 자동차 및 항공 시스템 분야를 이끌어갈 기술을 탐색하기 위해 Intelligence, Energy, Vehicular Technology 및 Human Machine Interaction Design의 4가지 방향에 맞추어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미래 지능형 Smart Car, 새로운 에너지원을 사용하며 자동차의 연비 향상과 관련된 Green Car, 무인비행체와 환경의 인식을 포함한 Intelligent Unmanned Systems, 안정적인 무인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인 Positioning/Navigation Systems, 인간 중심의 Human Machine Interaction의 5가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Smart Car 및 Green Car 융합연구
미래의 자동차는 기계공학뿐 아니라 전자공학, 감성공학, 디자인 및 에너지 등 여러 분야의 총체적 융합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STL은 무인자동차를 비롯한 지능형 자동차의 미래 기술 선점을 위해 다양한 전공생이 모여 창의적인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IT와의 융합이 확대되면서 운전자를 대신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등장했는데,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벤츠와 닛산, 제너럴모터스는 2020년까지 무인자동차를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2050년 이후에는 도로에서 사상자가 전혀 없는 완전 자율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안전한 무인 자율 주행의 필수 조건으로 차량의 주행 제어 기술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데, 이에 STL은 차량의 주행 정확성 향상뿐만 아니라, 운전자 승차감까지 고려한 제어 알고리즘 및 컨트롤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김시호 교수 그룹)
[사진] 연세대에서 개발중인 무인 자율 주행 자동차 eagle-eagle
- - 지능형 자동차 (Intelligent Vehicles)
- - 친환경 자동차 (Green Car)
2. 지능형 무인시스템 및 위치/항법시스템 융합연구
2011년 IEEE Spectrum 매거진에서 'Top 11 Technologies of the Decade'로 Drone Aircraft를 선정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미래형 무인비행체와 같은 지능형 무인시스템 개발의 중요성은 나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UAV (무인비행체), MAV (초소형무인비행체)를 비롯하여 생체 모방형 로봇, 군집 로봇,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주변 환경 인식 등의 연구 또한 미래의 중요 기술입니다. STL에서는 GPS 전파교란 상황이나 상세 지도 정보가 작성되지 않은 지역에서의 UGV (Unmanned Ground Vehicle)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UAV (Unmanned Aerial Vehicle)와의 통신 및 협업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리적, 외교적 상황으로 인해 최근 그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GPS 전파교란에 대비하여, 지상파 기반의 새로운 항법시스템인 eLoran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국정과제 중 하나로 2018년 정상 운용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eLoran 구축 사업과 관련하여 정부과제 수행 및 기술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원 교수 그룹)
[사진]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한 지능로봇 실험
- - 지능형 무인시스템 연구
- - 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PNT) 시스템 연구
- - 모션캡쳐 응용 로보틱스
- - 통합디자인 방법론 / 학제간 융합 연구 (공학과 디자인)
3. 인간중심의 Human Machine Interaction (HMI) 융합연구
HMI분야는 대표적인 다학제적인 학문이자 사회 및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융합 분야입니다. 우리 그룹은 HMI 중 특히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의 다양한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및 인터페이스, 자동차와 모바일 기기간의 상호작용, 두 가지 이상의 기계 환경에서의 사용자 환경, 그리고 인간-기계-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개발과 효과의 분석을 함께 실시하고 있습니다. HMI분야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개발 이외에도 HMI 환경 상의 서비스 디자인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서비스 디자인은 크게 유무형의 서비스의 디자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서비스 이용자 연구, 서비스 사용성의 분석, 신 서비스 및 산업의 창조 및 연구, 서비스와 연계된 산업의 분석, 그리고 서비스의 홍보, 마케팅을 통한 확산 연구 등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본 그룹에서는 광범위한 서비스 디자인 영역의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다영 교수 그룹)
[그림] 여행 경험 서비스 디자인
- - 소셜미디어, 인문학과 IT의 상관관계
- - 즐기는 자와 빼앗는 자, 모바일 게임과 보안
- - 인간을 이해하는 기계, 생체인식과 HMI